
얼마전에 aT센터에서 열린 식용곤충 행사 ~ [곤충식품 페스티벌 및 심포지엄] 행사를 참관했다.
식용곤총과 만난지는 얼마되지 않는다.
우리는 수년전부터 귀농귀촌 프로젝트를 추진하면서,
아주 자연스럽게 식용곤충을 만나게 되었다.
처음에 우리의 경제공동체 마을 주민(?)들이 버섯 농장을 하면서, 덤으로 굼벵이를 키우면서 식용곤충이 관심을 끌게 된 것이다. 버섯 농장에서는 톱밥 배지를 사용하는데, 버섯을 따고 나면 이것을 버린다. 그런데 버려지는 폐배지를 몽땅 가져가는 분이 있었다.
폐 배지를 왜 가져가는지 물어봤더니, 그걸로 굼벵이를 키운다는 것이었다. 이것이 굼벵이 먹이가 된다나. 자원을 아주 효과적으로 활용하는 것이다. 이에 착안하여 우리도 굼벵이를 키우게 되었다. 그러면서 점차 식용곤충에 매력에 빠지게 된 것이다.
지금은 쌍별귀뚜라미를 키우는 사육농가들이 20 업체가 서로 연대하여 공동 마케팅을 추진하기 위한 준비를 하는 단계가 되었다.
식용곤충은 미래식량으로 주목받고 있다.
이미 선진국에서는 식량자원으로 자리잡고 있는 유망 아이템이다.
사실 인간은 오래전부터 곤충을 식용해오고 있다.
우리는 메뚜기를 먹었던 기억이 있다.
또한 굼벵이도 먹었다.
어떤 민족은 바퀴벌레도 먹는다.
대부분의 원시부족들은 곤충 유충을 중요한 음식으로 간주한다.


다만 식용곤충을 대량 사육하여 ~ 수익사업으로 전환한 것은 역사가 길지 않을 뿐이다.
이번 행사에서
우리가 관심을 가진 것은
얼마나 많은 종류의 상품이 개발되어 유통되고 있는지였다.
괘 많은 사람들이 행사에 와서 ~ 식용 곤충의 열기가 달아오르고 있음을 느끼게 했다.
다만, 아직까지 제품들이 매우 단조롭고 특별한 것이 없어 보이는 점이 아쉽다.
당연한 이야기지만, 아직 식용곤충은 시작 단계일 뿐이다.
적어도 3년 혹은 5년이 지나면 ~ 일반화될런지 모른다.
현재 식용곤충으로 정부가 인정한 것들이 7종이 있다.
‘장수풍뎅이 유충’ --- 전통적으로 간 관련 질환, 야뇨증, 중풍 등의 치료에 사용. 면역기능 증강 효과. 단빅질, 지방, 탄수화물 등 필수영양소가 고르게 분포.
'메뚜기' --- 단백질 70%로 가장 높다.…단백질 분해효소인 트립신 풍부 소화 잘돼. 한의학에서 천식치료 효과와 위장, 비장 강화 교화. 해열작용과 간 보호 효과.
'누에번데기' --- 100g 당 단백질 22.3g 뇌조직과 신경 구성에 필수인 레시핀 성분 풍부. 성장기 아이들 발육 촉진. 고지혈증 개선 및 피부보습 효과. 열내리는 효과 있음.
'갈색거저리 유충' --- '밀웜' . 애완동물 먹이로 인정받음. 단백질 50.3% 지방 33.7% 풍부, 불포화지방산 다량 함유. 혈관질환 및 성인병 예방에 도움. 약재로 사용. 기침·토혈 중풍 등 치료 효과.
'흰점박이꽃무지 유충' --- '굼벵이' 주로 한약재. 단백질 57.8%. 독소 해독과 혈액순환 개선. 비타민B 풍부 강장제. 통증 완화와악성 부스럼 치료에 효과.
'장수풍뎅이 유충' --- 전통적으로 간 관련 질환과야뇨증·중풍 치료에 도움. 면역기능 증강 효과. 단백질, 지방, 탄수화물 등 필수영양소가 고르게.
쌍별귀뚜라미 --- 메뚜기와 비슷한 식감. 해열과 이뇨작용, 신경마비 치료에 도움. 간보호 등에 도움. 단백질 26.4% 수준. 글루타티온 풍부해 술안주로 적격.
|










우리는 쌍별 귀뚜라미 제품에 관심이 많아서, 집중적으로 찾아 보았지만 별로 보이지 않았다.
몇 업체의 제품들만 있었는데 ~ 다음 번 행사에서는 우리도 출품해야겠다....





[자료 참고] 한국식용곤충연구소, 농촌진흥청 곤충산업과
[참고 자료] 식용곤충 종류 http://tip.daum.net/question/70346095
[참고 자료] 식용곤충 영양 http://m.blog.naver.com/bboyan42/220770655909
[참고자료] 식용곤충 위키백과
[참고자료] 농업의 비전
[참고자료] 신약개발
[참고자료] 양주 식용곤충 가공공장 (유투브)
[참고자료] 식용곤충 관련 논문
[참고자료] 식용곤충 시장 대기업 가세
[참고자료] 식품산업 미래 불루칩
----------
쌍별 귀뚜라미 사육 문의 : 협동조합 창조경제마을 (밴드)
사육장면 http://band.us/#!/band/65626763/post/133